1993.3.2.~1999.2.25.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공학사
1999.3.2.~2001.2.25.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공학석사
2001.3.2.~2003.8.31. 부경대학교 식품공학과 공학박사
<주요경력>
2005.5.11.~2016.5.1.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사
2016.5.2.~2020.2.29. 국립수산과학원 해양수산연구관
2020.3.1.∼현재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조교수
<기타경력>
2016.5.9.~2018.5.8. 특허청 해양수산분야 공중심사자문위원
2016.3.1.~2018.2.28. 부산산업클러스터 산학관협의회 해양산업분과 위원
2014.1.1.~현재 한국수산과학회(국문지) 책임편집위원
2016.1.1. ~현재 한국유통저장학회 수산식품위원회 간사
2020.5.23. ~ 2021.5.22. 해양수산부 수산식품전문위원회 위원
2020.5.23. ~ 2022.5.22. 해양수산부 수산식품기술위원회 위원
2020.5.10. ~ 2022.5.9. 식약처 식품원료 자문위원회 자문위원
<자격사항>
수산제조기술사, 수산제조기사, 식품제조기사, 위생사면허
수산물의 이용확대를 위한 수산가공기술 개발
수산물 위해요소 저감을 위한 수산가공기술 개발
* 젓갈류의 히스타민 저감 기술 개발
수산물 유통저장기술 개발
* 선어회 유통기술 개발
수산부산물 이용기술 개발
*액젓잔사를 활용한 조미소재 개발
<연구수행실적>
1. 유용물질을 이용한 히스타민 저감 및 천연 조미소재 개발, 해양수산부, 2017~2019
2. 해조다당류 첨가 프리미엄 어묵 생산기술개발, 해양수산부, 2015~2017
3. 수산물 및 수산식품의 영양성분 DB구축, 해양수산부, 2014~2016
4. 천일염 생산해역의 안전관리 기반구축, 해양수산부, 2012~2013
5. 수출용 넙치의 수송 및 보관기술, 해양수산부, 2011~2012
6. 수산식품의 유통 및 포장기술개발, 2009~2011
7. 미이용 수산물의 가치창출을 위한 식품가공 기술 개발. 2019∼2023
8. 수산물 이용확대를 위한 영양성분 평가 연구. 2019∼2023
9. 청소년의 수산물 소비확대를 위한 맞춤형 식품가공 기술개발. 2016∼2018
10. 독도 및 심해 생태계 수산자원 조사. 2018.
11. 1090 세대공감형 면역증강(혈관, 피부) 수산식품 소재 개발. 2016∼2018.
12. 해역특화 생태통합양식(IMTA) 기술개발. 2014∼2018.
13. 해파리 대량처리 장치개발 및 이용방안 연구(2012∼2013)
14. 조피볼락 가공제품 개발(2012)
15. 젓갈의 속성제조 및 저염화기술개발(2012~2014)
16. 수산생물 유래 건강기능성 소재개발(2009~2015)
17. 수출패류생산 지정해역 및 수산물 위생조사(2005∼2010)
<학부>
수산가공학 및 실험, 식품포장학, 분석화학 및 실험, 냉동냉장학
<대학원>
수산가공학특론, 냉동냉장학특론, 식품저장학특론
ㅇ 논문발표 실적 (SCI급)
논문제목 |
학술지명 |
발표년도 |
참여형태 |
비고 |
Estimating postmortem Interval by bioluminescent determination of ATP content in the muscl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J Food Prot |
2019 |
주저자 |
SCI |
Freshness evaluation in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using near-infrared spectroscopy determination of the cadaverine content. |
J Food Prot |
2019 |
주저자 |
SCI |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hydrolysates induce apoptosis in human colon cancer HT-29 cells through activ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
Nutirtion and Cancer. |
2019 |
주저자 |
SCI |
Relationship between seasonal variations in body and proximate compositions of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as from the Korean coast |
Turk J Fish Aquat Sci |
2017 |
주저자 |
SCI |
Concentrations and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tissues of walleye pollock (Gadus chalcogrammus) captured from the northeastern coast of Korea |
J Food Prot |
2019 |
교신저자 |
SCI |
Occurrence and virulence of Vibrio parahaemolyticus isolated from seawater and bivalve shellfish of the Gyeongnam coast, Korea, in 2004-2016. |
Mar Pollut Bull |
2018 |
교신저자 |
SCI |
Abundance,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virulence of pathogenic Vibrio strains from molluscan shellfish farms along the Korean coast |
Mar Pollut Bull |
2019 |
공동저자 |
SCI |
Quantitative analysis of Alaska pollock in seafood products by droplet digital PCR |
Food Chem |
2019 |
공동저자 |
SCI |
Comparison of bioaccumulation and elimination of Escherichia coli and male-specific bacteriophages by ascidians and bivalves |
Environ Sci Pollut Res Int |
2017 |
공동저자 |
SCI |
Concentrations of trace metals in tissues of Chionoecetes crabs (Chionoecetes japonicus and Chionoecetes opilio) caught from the East/Japan Sea waters and potential risk assessment. 24 |
Environ Sci Pollut Res Int |
2016 |
공동저자 |
SCI |
ㅇ 논문발표 실적 (KCI급)
논문제목 |
학술지명 |
발표년도 |
참여형태 |
비고 |
멸치액젓잔사 추출물을 이용한 조미소재 개발 |
한국수산과학회 |
2020 |
주저자 |
|
어묵의 동결안정성에 변성전분이 미치는 영향 |
한국수산과학회 |
2020 |
교신저자 |
|
2013-2016년 경남 연안 해수 및 패류에서 병원성 비브리오균의 계절적 및 지역적 변동 |
한국수산과학회 |
2019 |
공동저자 |
|
Inhibitory effect of fucofuroeckol-A from Eisenia bicyclis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biosynthesis in murine melanoma B16F10 cells |
Fish Aquat Sci |
2018 |
주저자 |
|
Bacterial quality evaluation on the shellfish-producing area along the south coast of Korea and suitability for the consumption of shellfish products therein. |
Fish Aquat Sci |
2018 |
교신저자 |
|
국내산 김(Porphyra tenera), 다시마(Saccharina japonicus), 미역(Undaria pinnatifida), 톳(Sargassum fusiforme)의 생산지역에 따른 미네랄 함량 분석 및 영양평가 |
한국수산해양 |
2017 |
교신저자 |
|
아로니아 착즙액 첨가 튀김어묵의 품질특성. 한국식품유통학회 |
한국식품유통저장학회 |
2017 |
공동저자 |
|
쏘가리(Siniperca scherzeri)의 시기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
한국수산과학회 |
2017 |
주저자 |
|
자연산과 양식산 동자개(Pseudobagrus fulvidraco)의 시기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
한국수산과학회 |
2017 |
교신저자 |
|
Antioxidant and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ies of Northern shrimp (Pandalus borealis) by-products hydrolysate by enzymatic hydrolysis |
Food Fish Aquat Sci |
2017 |
공동저자 |
|
자연정화에 의한 양식굴 (Crassostrea gigas) 중 노로바이러스 저감화 |
한국수산과학회 |
2016 |
공동저자 |
|
<간행물발간>
1. 표준 수산물성분표 2018 (2018)
2. 수산물 건강요리 (2018)
3. 해마가 들려주는 신비로운 수산물 이야기(2017)
4. 깨끗한 담수어류가 차려낸 건강한 수산물 밥상(2017)
5. 건강한 수산물 밥상(2016)
6. 한국 수산물 지방산 성분표(2012)
7. 수산물 분석 지침 개정판(2012)
- 수산가공학실험실